반응형

1999년, 2000년 광풍같이 몰아치던 IT 벤쳐투자의 끝자락 무렵에 통신시장의 신세기를 예고하던 서비스가 있었으니, 이름하여 UMS(Unified Messaging System) 이다. 일부 사람들은 Universal Messaging Service 라고 했던것으로도 기억된다.

어쨌거나, 당시 소프트웨어 유통사업으로 막강한 이익을 보던 다우기술 측에서 Qrio.com 라 불리우는 UMS 업체를 미국 본토에 설립하고, 팩스, 음성메시지, e-mail 등을 통합관리하는 신개념 서비스로 새바람을 불러일으켰던것 까지만 기억이 나고, 그 이후 소식은 별 관심이 없어서 그냥 그렇게 최소한 내 기억 속에서는 잊혀졌던 것 같다.



당시 통합메시징 서비스는 화려한 수식어와는 달리 사용하기에 불편했던 것이 기억나고, 생각보다 그 효용성이 매력적이지 않았다는 순전히 개인적인 느낌만 기억 속에 남아있다.

Wikipedia 의 해설에 따르면(Wikipedia 에 조차 Unified Messaging 에 대한 해설은 몇줄 되지도 않는다. -.-), UMS 서비스는 초창기에 업종 전반이 기대 이하의 실적을 보인듯 하고, 와중에 telco 업체들의 2001년 동반 자폭(?) 시즌 덕분에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된 것으로 보인다.

나스닥 광풍과 묻지마 벤쳐 투자의 격동의 세월의 중심에 서 있었던 나에게 편린의 기억으로 남아있는 수많은 업체들 중 Qrio.com 을 느닷없이 꺼내든 이유는 바로 인터넷 팩스 서비스를 무려 7년 만에 써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전화/Fax 를 회선 하나에 공용으로 사용하다가 그 불편함이 정도를 넘어설 정도로 업무량이 늘어나고, Fax 수신 품질에 불만을 느끼던 차에 인터넷 팩스를 찾게 되었다.

internet fax 란 키워드만으로도 수없이 뜨는 업체들 중 요금제도가 가장 적합하고, e-mail 을 통해 Fax 송수신과 SMS 송수신이 간편하게 지원되는 서비스를 골라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TBox.net
게다가, Free Trial 을 지원한다. ^^;
더 나은 서비스도 분명 더 시간을 투자해서 찾아보면 있겠지만 일단 대만족!

오오... 서비스 품질에 대만족할 뿐만 아니라, pdf/png 등으로 e-mail 계정에 쏙 꼽혀서 들어오는 맛이 아주 제대로다.

e-mail 로 팩스와 문자메시지를 사정없이 날려대는 이 편리함이란...


당시의 인터넷 팩스 서비스나 UMS 로 대변되는 Voice mail 수신기능 등도 이렇게 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던건지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게 안타까울 뿐이다.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패션회사 애플의 야심작 - iPhone

















개인적으로는 iPod 의 지금과 같은 메가히트를 전혀 예상하지 못했었기에 iPhone 의 향후 성공여부가 어떨지에 대해서도 역시 마찬가지로 두고보면 알겠지란 아주 소심한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iPod nano 의 출현 시점에서야 독보적인 지위를 인정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게 되었음을 고백한다. 하지만, HDD 타입 iPod 1세대 시절만 하더라도 국산 iRiver 프리즘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믿었다. 사실은 지금도 그렇게 믿고 있다. iRiver 가 좀 더 미국에서 잘 플레이 했었더라면 어땠을까?

어쨌거나, 6월 29일 세상에 본 모습을 드러냄을 대대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한 iPhone

그 성공여부가 어찌될지가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도 그럴것이 Leopard (Mac OS X v10.5) 출시일정을 미뤄가면서 까지 공을 쏟아부은 iPhone 아닌가...

CBS 60 minitues 광고 방영 이후, 끝없이 이어지는 많은 의견들, 기사들, 예측들 중 가장 마음에 와닿는 내용을 The Register 에서 찾을 수 있었다. (물론, 그 많은 내용들을 다 읽어봤을리 만무하지만 ^^)

Why Apple won't sell 10 million iPhones in 2008

하지만...

Who knows? 애플은 유행을 창조하길 원하는 일명 패션회사 아닌가? -.-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48년 동안 매일같이 24시간 한시도 쉬지않고 라스베가스의 산 증인으로 버텨왔으며, 2006년 11월 1일에 문을 닫은 이후 해체작업을 시작해온 Las Vegas strip 의 살아있는 역사라 불리울 수 있는 Stardust 호텔이 드디어 폭파작업을 통해 완전해체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바이~ 스타더스트~

이 자리에 Las Vegas strip 에서 Wynn 호텔과 더불어 명소로 불릴만한 신칼라 호텔이 2010 년 개장될 예정이다. 옆에 있는 Circus Circus 도 한번 쯤 리노베이션을 시도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아, 손이 근질근질해지는 타임. ^^;

그나저나 Stardust 게임 테이블에서 사용되던 chip 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기념품샵에서 만나볼 수 있을까?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게임기가 일단 출시되고 나면, 곧이어 모드칩(일명, 복사칩)이 발표되고 복사방지된 디스크 이미지를 ripping 하여 일명 짝퉁 백업 디스크로 게임을 즐기거나 하는 일은 쉬쉬해도 결국에는 알만한 사람들은 시도해보는 시나리오가 아닌가 싶다.

물론, 수많은 제작비와 인력이 투입되었음이 분명한 대작게임을 소장 차원에서도 구입하는 많은 사용자들도 있지만, 호주에 와서 살다보니 단순히 region code 만 다른게 아니라 영상출력 방식도 PAL 방식이어서 일단 손에 쥘 수 있는 게임 타이틀의 종류조차 너무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다.

와중에 국제전자상가 같은 Pre-owned 알뜰시장(?)의 규모도 기껏해야 EBGames 같은 곳에 겨우 구멍가게 수준으로 꾸며져있다보니 만족스럽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사심없이 그냥 있는 놈 건져온다는 기분 이상이었다간 매번 낙담할 수 밖에 없다. ;-)

게다가, Wii 타이틀은 당연히 매물로 올라오지도 않고 있다. 모두들 집에서 그냥 Wii Sports 만 하고 있는건가? :-(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적님이 뜨셨네~~~ -.-

Wii 역시 모드칩이 풀리기 시작했고, 시판도 되고 있다.

이 녀석들이 현재 대표적인 Wii 모드칩(복사칩)인 모양인데, 아직 PS2 모드칩만큼 사용이 쉽진 않은 모양이며 아직 갈 길이 먼 모양

모드칩도 모드칩이지만, 일단 NTSC 타이틀을 사와서 돌릴 수만 있어도 아쉬움이 덜할텐데란 마음에 둘러보는데, 아니나 다를까 역시 NTSC/PAL iso patcher 란 녀석이 곧 릴리즈될 모양이다. 만세~~~~
모드칩이랑 궁합도 잘 맞춰서 나온다니, 모드칩 + NTSC/PAL iso patcher 의 조합으로 앞으로 뜨게 될 iso 이미지들을 돌려서 즐길 수 있다는 얘기네?

이곳에서 용산상가 찾듯 Wii 기계들고가서 모드칩 달아달랠 수도 없는 법이겠고, 이참에 인두랑 납이랑 구입해서 간만에 납땜 한번 들어가주셔야 하나? 흐흐~

재미있는 게임은 물론 사서 해줘야지.(나름대로 PS2 게임은 상당수 정품 보유자)
하지만, 재미있는 게임인지 아닌지 한번 돌려본 뒤에??? 험험 -.-
웬만한 일반 Wii 게임도 99.95 달러씩 하는 판국인지라... :-(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쏟아지는 정보들 속에서 유용한 정보들을 골라서 재활용하거나, 이를 새로운 정보로 가공해내고 더 나아가 시대의 흐름을 읽거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기본 정보로 해석해내는 능력들은 엄청나게 값진 재능이라 단언할 수 있다.

문제는 과연 그런 목적으로 의도된 행동이나 결과물이 그런 의도에 걸맞는 제대로 된 평가를 받느냐 아니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IT 현업에서 일을 할 당시를 더듬어 보더라도 나름대로 새로운 뉴스와 업계의 움직임을 관측하여 새로운 application 이나 컨설팅 항목으로 다듬어내는 일 등을 열심히 해 온 나에게는 오래된 습관처럼 이런 각종 데이터들을 되도록이면 흡수를 해보려는 태도가 일부 베어있는 편이다. 이게 반드시 좋은건 아니라 생각된다. :-(

어쨌거나 이런 일종의 메모벽(?)을 위해 여러가지 툴이나 서비스들을 찾아가며 써보게 된다.

일단, 내가 중요시 여기는 기능은 웹페이지 전체나 일부를 클리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이에 별도로 코멘트나 태그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들 중 대표적인 것이 Google Notebook, Clipmarks, firefox add-on 의 Jeteye 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서비스들이 존재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irefox 와의 환상의 궁합으로 반했던 구글노트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 썩 마음에 들지않는 인터페이스


구글 노트북은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많은 분량을 긁어서 스크랩할 때 뜨는 오류, 생각보다 불편한 분류체계, 어딘가 이뻐보이지 않는 구조 등으로 인해 더이상 손이 안 가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나름대로 유용하게 써왔다고 느끼는 서비스형 클리핑툴, clipmarks

이 역시도 원하는 대로 클리핑 자료를 돋보이게 관리하는데에는 에로가 많았다. 유용한 자료들을 단순히 쌓아놓는 용도로는 상상이상으로 훌륭한 저장고 역할을 해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백문이 불여일견 - 한번 깔아부아~ 젯아이

나름대로 훌륭한 아이디어였으나... 역시 primary 툴로 사용하기에는 무거웠다.

각종 Personal Page(Netvibes, protopage, wzd.com 등 수없이 많은 개인화 서비스들)의 메모기능들도 포스트잇에 끄적이듯 여러가지 아이디어들을 기록하여 두기에 만족할만한 기능이랄 수 있지만 어딘가 부족하다고 느낄 수 밖에 없었다.

도대체 무엇이 부족해서일까?

단순히 즉흥적으로 쓸만한 자료들을 긁어서 놓는 것 만으로는 이로인해 파생가능한 여러 창작/가공활동에 관계된 생산성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인간의 단면 덕분에 코비박사의 "소중한 것 먼저하기" 등이 공감을 얻는 것이겠지만 말이다.

자료들을 모으는 것 이상으로 이를 잘 구성하여 재활용이 가능토록 만드는 시스템 자체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런 방법으로는 간단하게 ToDo 리스트 형식에 맞춰 우선순위별로 자료들을 정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다.

하지만, 나에게 가장 어울리는 자료구성 시스템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트리구조의 폴더/파일 구조가 아닌가 싶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가장 강력한 메모/클리핑/스크랩 도구는 바로 jwFreeNote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직관적이고, 그냥 긁어서 퍼다넣으면 끝

용도와 목적에 맞게끔 폴더를 구성하고, 유사주제들을 하나의 페이지에 차곡차곡 붙여놓거나, 폴더 내에 관련 스크랩들을 모아두고 필요할 때 찾아보는 정도만으로도 과거의 기억을 괴롭게 되새기며 불만족스런 기억력을 탓하지 않게 되었다. ;-)

게다가, 검색은 Google Desktop 의 "under" 연산자를 이용해서 jwFreeNote 폴더 아래에서 사뿐히 해결한다.

jwFreeNote 에 기록되는 스크랩들은 HTML 파일 및 긁어오는 이미지들은 로컬 드라이브에 차곡차곡 복사되어진다. 이는 향후 백업 및 복구를 위해서도 지극히 단순한 구조아닌가?

중요한건 공개된 좋은 정보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도구로 이런 툴들이 잘 활용되었으면 한다는 점이다.
재수없게 그냥 "퍼가요~" 식의 싸이스러움은 없었으면 한다. ^^;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한국산 소셜 북마크 서비스인 mar.gar.in 의 등장 이후에 한글검색 기능과 한글로 된 소셜 북마크들의 집단지성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용도로 많은 사람들이 del.icio.us 를 버리거나 혹은 2중으로 사용하며 마가린으로 갈아타고 있음을 목격하게 된다.

애초에 잘 만들어진 서비스는 me-too 이고 아니고를 떠나, 고객중심의 가치를 부여한다면 당연히 애용을 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존 서비스를 떠날 이유가 충분히 있다고 믿는 편이기에 이러한 변화의 바람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01

소셜 북마크의 핵심은 위의 del.icio.us 와 mar.gar.in 의 초기화면에서도 드러나듯 나 이외의 구성원들이 기록/저장하는 사이트 정보들과 이에 덧붙여 반영되는 공통관심사로 인한 집단지성 자체라 할 수 있다.

즉, 관심영역 등이 일치할 경우 또는 등록된 사이트의 중요성에 동의하며 voting 하는 것과 유사한 셈이다. 많은 이들이 중복 북마킹을 했음은 그만큼 사이트의 중요도와 품질을 대변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소셜 북마킹의 핵심이다.

단순히 개인의 북마크를 web 상에 보관하거나 publish 하는 수단/툴을 가리켜 우리는 소셜 북마크 서비스라고 하지 않는다.

del.icio.us 의 강력한 점은 바로 초반 선두업체답게 집단지성의 근간이 되는 사용자층의 두터움과 인터페이스의 de facto 표준화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집단지성을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은 top page 를 매번 refresh 하며 popular site 들을 쫓아다니는 것이 아니다.

바로 stumble upon 이나 yoono(Firefox 확장기능) 와 같은 서비스를 보다 positive 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바로 이 del.icio.us 와 같은 소셜 북마크 서비스가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stumble upon(관련 이야기는 여기서) 과 yoono 는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일부 다르지만, 개념은 유사하다. 동일한 관심사, 주제, 영역에 속한 이들의 의견이 반영된 사이트들을 동네 한바퀴 돌 듯 투어링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링크백이 왜그리 중요하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느냐에 관해서는 별도로 언급을 하지 않더라도, 구글 검색엔진의 핵심(Pagerank)이랄 수 있는 백링크(backlink) 개념을 떠올리면 되겠다.

신뢰도 높은 정보소스로부터 링크가 걸리는 대상 역시 그만큼 신뢰도 높은 양질의 컨텐츠를 담게 마련이다.

del.icio.us 의 linkback 기능은 특정 사이트를 del.icio.us 에 북마킹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역추적 함으로써 해당 del.icio.us 사용자의 북마크와 태그, 관심사들을 확인/조회하면서 관심영역의 스펙트럼을 확장시키거나 재활용할 수 있는 툴이다.

즉, 나와 동일한 관점/관심사/태그를 활용하는 파워유져를 찾게된다면 해당 파워유져의 관심 사이트를 둘러보는 것은 단순히 Stumble Upon 에 의지해서 랜덤화된 사이트를 둘러보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세계가 연출되는 것이다.

아쉽게도 현재까지 확인한 바에 따르면 mar.gar.in 에는 이 간단하면서도 파워풀한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최소한 구현이 되었더라도 링크백 기능의 활용이 제대로 되지 않다고 볼 수 있겠다.




del.icio.us 의 linkback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몇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 bookmarklet 종합선물 셋트 blummy 와 del.icio.us look-up 북마크릿 조합(내가 현재 쓰는 방법)
- 기타 구글링에서 골라지는 녀석 중 입맛대로 사용하는 방법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이 좋은걸 왜 이제서야 써보게 되었는지 너무나 안타깝다. 더불어 지나간 세월, 좁은 화면에서 바둥바둥 애썼던게 억울하기까지 하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눈높이가 달라서 약간 에로~


물론, Virtual Desktop 류를 이용하던 적도 있었지만 동시에 화면을 보는게 불가능했기에 생각만큼 생산성이 늘어나지도 않았을 뿐더러, 사용하는 화면만 계속 사용하게 되어서 괜시리 시스템 리소스만 낭비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듀얼 모니터 작업환경은 다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객상담을 위한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야 할 듯


특히나 PDF 전화면으로 깔아놓고, 법전을 펼쳐놓고 뒤져야 하는 현 직업은 듀얼 모니터 환경이 아니라면 정말 갑갑하고, 상상이상의 종이/프린터 토너 낭비를 막을 방법이 딱히 없었을 것이다.

놀고 있던 15인치 LCD 모니터가 이리도 유용하게 사용될 줄 누가 알았단 말인가?

나야 뭐 요즘 코딩을 하는것도 아니고하니, 그냥 약간 해상도만 좀 컸으면 하는 아쉬움이 약간 남아있고, Dell 노트북 성능이 좀 안 받쳐준다는 아쉬움 정도?

아~ 이번주에도 신나게 일을 해야지~~~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BBC 의 영상을 YouTube 속에서...

BBC 와 YouTube 가 멋진 비지니스 딜을 이루어냈다.

BBC 입장에서는 YouTube 가 확보하고 있는 젊은 계층 기반의 새로운 시청자군을 자연스레 확보하고, 나아가서는 이들의 적극적인 feedback 을 프로그램에 대한 독자들의 자발적인 반응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겠다는 심산이 깔려있을 것이다.

YouTube 입장에서는 major 방송국을 파트너로 끌어들임으로써 저작권 위반에 대한 각 미디어 회사들로부터의 상생의 모델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role model 을 갖게 되었다는 돈으로 환산불가능한 딜을 이끌어 냈다고 보인다.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나날이 수준 높아지는 UCC 동영상 퀄러티라곤 하지만 아직 턱없이 부족한 볼거리 속에서 BBC 란 신뢰도 높은 컨텐츠 생산자의 영상을 즐길 수 있으리란 기대 등이 있겠다.

아직 제한적인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시청이 가능하지만 이 역시도 앞으로의 반응과 참여도가 어떻게 달라지느냐와 정식 광고연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실제, YouTube 인수 후 구글 측에서 광고와의 연계를 당연히 고려하고 있을터이며 이번 딜을 위해 광고 정책이나 수입, 수익배분 등에 관해 BBC 와 YouTube 측은 사전에 많은 정보를 나누며 포석을 깔며 물밑작업을 진행 중 일것임이 분명하다.

프로급 영상물에 있어서의 광고는 수십년에 걸친 문화학습에서 관대해왔던 것이 우리들 아닌가?

개인적으로는 Top Gear 하이라이트 등을 생각없이 봐줄 수 있다는 점과 BBC 컨텐츠 소스를 많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대만족~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주 자동차 산업의 대표주자이자 자존심인 Holden, 그 중에서도 Commodore 계열은 중형 세단의 품격과 품질을 유지해온 일종의 애국모델이랄 수 있다.(사실 Holden 은 1931년에 GM 에 인수되었다. 덕분에 아직도 ASX 에 리스팅되지 않은 private company 이다.)

한국의 현대 소나타가 이제껏 그래왔던 것처럼, 이곳 호주에서는 국산 모델로서는 Holden Commodore 가 그 역에 제격이 아닐까 싶다.

그 중에서도 Badge 에 따라 약간씩 다른 외형, 세단형이냐 Ute(일명 짐차! - 하지만, 호주 젊은 애들한테는 인기 최고!)이냐, 그리고 V6 엔진이냐 V8 엔진이냐 등이 구분되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주 젊은애들이 사족을 못쓰는 전천후 파워짐차, 유트~

V8 막강 엔진 driven 짐차 뒤에 온갖 놀거리들을 다 싣고서, 주말이면 우르르 떼거지로 걱정근심없이 놀러가버리는 호주 젊은 애들.
열기와 패기와 젊음의 분출을 이런 짐차와 함께 한다. T.T
그 중 파워엔진의 대표로 꼽히는 것이 바로 SS badge 이다.
6000 cc 8기통 V8 엔진, 360hp(270kW) 에 해당하는 괴력의 Holden Commodore SS 가 미국 본토에 Pontiac 브랜드로 입성을 하게 된다.

그동안 Holden Melbourne HQ 에서 개발된 Vehicle 엔진이 GM 차량에 탑재된 적은 많았지만, 완성품이 5만대 급으로 떼거지로 미국에 수출되어 가는건 무척 뿌듯한 뉴스가 아닌가 싶다. 실제 완성모델의 미국 수출 역사에 관한 detail 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런 감성적 코멘트 이외에는 추가 할 수 없다는게 안타까울 뿐...

Holden 제조공장이 위치한 South Australia 주변의 부품업체 등은 30% 이상 주문이 늘어서 신났다고 한다.
이래저래 이민자들도 엄청 몰려들고해서 South Australia 는 요즘 한껏 호황을 누리고 있다.
^^;

호주에 왔다면 널리고 널린 도요다 캠리보다는 이왕이면 홀덴 코모도어를 뽑아주는 센스?
하긴, 급등한 기름값이 문제라면 문제라서... 쩝. (QLD 현재 기름시세는 무연휘발유 1리터에 780원 정도?)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

반응형

내가 캠코더를 사게된 계기는 바로 영준이형이 찍어서 올려놓은 홈비디오(그것조차도 극히 일부에게만 보여준..)를 본 것이 결정적이었다.
그 전까지만 해도 캠코더가 있어도 찍고난 뒤, 그 영상을 어찌 관리해야할지, 또 어떻게 함께한 이들과 즐거움을 나눠야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가늠조차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냥 그러려니 하고 있었는데, 아니 간단히 찍어놓은 영상을 PC 로 옮겨서 publish 할 수 있는것 아닌가? 그게 바로 2001년이었던 걸로 기억된다. (기억이 가물가물)

요즘에야 간단하면서도 기능도 적당한 편집툴도 많은 것 같지만, 당시에는 Sony VAIO 에 들어있던 DVGate 같은 녀석으로 캠코더의 영상을 PC 로 가져와서 그냥 wmv 파일로 만들어서 embed 시켜놓는게 전부였다.

그러다가 2003년 인티즌 마이미디어 블로그를 시작하며, 난데없이 IEEE 1394 카드에 딸려온 번들 Pinnacle Studio 편집툴을 설치해본것이 동영상 편집 인생의 새로운 전환점이랄 수 있다.


지금처럼 간단한 동영상 편집은 이제 아주 재미난 취미생활이 되어버렸다.
멋진 영상거리가 포착될 때에는 이걸 어떻게 편집할까 고민하는 아주 즐거운 상상을 할 때가 한 두번이 아니지만, 시간이 안 받쳐줘서 상상만으로 끝난다는게 참 아쉽다.

하지만, 생각보다 실력도 안 늘고, 그나마도 좀 늘만하면 또 한동안 바빠서 손을 놓아야하는 입장이라서 매번 결과물에 만족못하기 마련.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가 사용하는 동영상 편집툴 Sony Vegas 6.0 의 작업창 일부

아주 간단한 동영상 편집 하나도 사실은 복잡해서 아주 뒤진다. T.T
좀 쉽게 할 수 있는 좋은 툴 있으면 추천이라도 받아야 할 판!

자, 그건 그렇고 만들어진 동영상을 publish 하려면 예전에는 wmv 파일을 하나하나 계정서비스 지원되는 곳에 올려놓아야했지만 세상이 많이 좋아져서 각종 동영상 UCC 사이트들을 이용해서 아주 잘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동영상을 테스트 삼아 올려보고 있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 티스토리 직접 업로드(다음 동영상 엔진)
  • mncast.com
  • SoapBox(마이크로소프트)
  • YouTube
  • Google Video

티스토리에 직접 올린 동영상은 Share 등으로 동영상 propagate 를 시킬때 불편한 점이 너무 많고, 올려놓은 동영상들을 일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없어서 아직 평가유보 중

mncast.com 은 어제부터 동영상 자료를 올려보고 있는데, 100MB 업로드 한계를 PC 인코딩으로 풀어갈 수 있다는 점 등이 좋은 것 같지만, 동영상 아래에 살짝 붙는 광고가 쫌 ... :-(

SoapBox 는 딱 내 스타일이다. 하지만, embed player 가 티스토리에 잘 붙지않는다. 이거 누구 해결방법 아시는 분???
태터툴즈나 티스토리에서 Soapbox 를 쓰시는 분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내 경험으로는 이 중 1/3 은 configure 가 잘못되었다면서 재생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일단 현재로서는 주 publish 공간으로 쓰기에는 무리!

YouTube 는 일단 인코딩 화질이 타 서비스에 비해 좀 떨어지는듯 하고(예전에 다음과 mncast 의 화질비교 라는 제하의 글에서 기술적인 내용들을 읽은 적이 있는데, 아무래도 YouTube 는 뭉개지는 현상이 좀 더 심한듯), 개인적으로는 좀 정이 안간다 해야할까?

Google Video 는 처음부터 100MB 업로드 한계같은게 없었기 때문에 기본 동영상 업로드 플랫폼으로 써왔기에 할 수 없이 쓰고 있다는 표현이 적당할 것 같다.



이곳저곳 기웃거리기 보다는 한 곳에 정착해야할텐데, 아직은 딱 마음에 드는 곳은 없다는게 문제라면 문제랄까?



여러 용도로 괜찮은 서비스 업체 추천해주실 분 없으십니까?



그럼, 아들 녀석들의 한판승부를 조금 더 손봐서 편집한 동영상을 mncast 에 올려놓은걸 한번 테스트 삼아 붙여본다. 티스토리와 mncast.com 의 궁합을 한번 볼까?
 
반응형

Posted by 박창민
Bookmark and Share

,